자기탐구 - 나를 알아가는 시간

부모의 의존, 어디까지 받아줘야 할까? - 역할이 바뀐 가족

변화는 즐겁게 2025. 5. 30. 09:08
반응형

 

 
 
나는 부모님에게 ‘시키기 편한 사람’으로 살아왔다.
마트에 가면 엄마는 모든 상품 가격이 맞는지 나에게 묻는다.
상품과 가격표만 보면 바로 알 수 있는 일인데도,
직접 확인하지 않고 내가 대신해주기를 기다린다.
키오스크도 마찬가지다.
한두 번만 배우면 쉽게 익힐 수 있는 일인데,
“귀찮다, 그냥 네가 해줘.”
“네가 빨리하잖아.”
이런 말들과 함께, 배우려는 의지조차 보이지 않았다.
처음엔 '도와달라'는 말처럼 들렸지만,
그 요청은 점점 ‘내가 해야만 하는 일’로 바뀌었다.
거절하면 사람들 앞에서 망신을 주던 엄마.
담배를 사오라고 시키고,
리모컨 하나 찾는 것도 내 몫이던 아빠.
거절하면 돌아오는 건 비난과 고함, 위협, “불효자”라는 말뿐이었다.
매일 수없이 나를 찾아 사소한 일들을 시켰고,
내가 자격증을 따면, 그건 곧 부모의 노후에 도움이 될 거라며
당연하다는 듯 요구하던 모습들.
이런 반복 속에서 나는 점점 지치고,
무력감에 익숙해져 갔다.
 


부모님 행동의 문제점

  1. 정서적 가스라이팅 + 수치심 유도
    • “주변 사람 보는 데서 불효녀처럼 말한다”
      → 자식의 건강한 반항이나 거절을 ‘죄책감’으로 돌림.
    • 이는 심리적으로 지배하려는 방식이다.
  2. 감정적 위협과 강요
    • “고함치고 위협한다”, “자격증까지 따라고 한다”
      → 본인의 삶 문제를 자녀에게 떠넘기며, 책임과 결과까지 요구함.
  3. 배우기 싫어하고, 의도적으로 무능을 유지함
    • “배우는 건 귀찮다”, “니가 해줘라”
      → 이것은 학습된 무기력을 가장한 기생적 행동
      → 실제로는 배우기 싫은 게 아니라, 편하게 살고 싶어서 안 배우는 것.
  4. 자녀를 수단화
    • “담배, 소주 심부름”, “노후 대비용 자격증 강요”
      → 자식의 인생을 부모의 삶의 연장선으로 여기며, 자식의 경계나 독립성을 인정하지 않음.

 


자녀를 도구로 대하는 부모의 심리

  1. 불안 회피
    • "배우기 귀찮아, 니가 해" → 새로운 것을 배우는 불안 회피
  2. 기득권 유지 욕구
    • 자식이 독립하면 통제력이 사라지니, 의존관계 유지로 기득권을 지키려 함.
  3. 역할 혼동
    • ‘부모는 자녀의 보호자’가 아니라,
      ‘자녀가 부모를 보살펴야 할 대상’으로 뒤바뀐 상태.

 


이 상황에서 당신에게 필요한 마인드셋

  • “부모라고 해서 다 받아줘야 하는 건 아니다”
  • “나는 부모의 개인 비서를 하기 위해 태어난 게 아니다”
  • “거절은 불효가 아니라 자기 보호다”

 


마무리

부모를 사랑하는 마음과, 부모를 돌봐야 한다는 부담은 다르다
나는 그동안 ‘이 정도는 내가 감당해야지’ 하며 잘하는 자식이 되려고 참아왔다.
하지만 그건 내 삶을 포기하면서까지 할 일은 아니었다.
이젠 조금씩 거절하는 연습을 하고 있다.
부모를 돕는 일도, 내 시간을 챙기고 나를 지키는 일도,
모두 내가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느끼게 됐다.

 

 

가족 안에서 상처받은 나 – 인기글 BEST 5

 

 

타인의 평가에 민감한 나,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까? - 자존감 낮은 나를 위한 심리 회복

살다 보면 이런 생각 들 때 많다나는 왜 이렇게 남의 말에 쉽게 상처받을까?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볼지 계속 신경 쓰여...그냥 내 모습 그대로 살면 안 될까?타인의 평가에 민감한 사람들은 생각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엄마의 반복되는 하소연 - 감정 쓰레기통이 된 자녀

자녀에게 하소연하는 엄마, 그리고 그것을 버텨야만 했던 나 20살때부터 나는 매일같이 엄마의 하소연을 들었다식사시간이면 당연하다는 듯, 아빠 이야기부터 시작됐다.권위적이고 강압적인 아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가족 내의 편애와 차별이란 무엇인가? - 자식의 존엄을 해친다

나만 다른 취급을 받는다는 것...어릴 때는 몰랐다. 그냥 내가 부족해서 칭찬을 못 받고, 내가 뭘 더 못해서 기회가 없다고 생각했다.하지만 커가면서 알게 됐다. 우리 가족 안에서는 ‘공평함’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 
 
 
※ 본 글은 작성자의 창작물이며, 무단 복제 및 재배포를 금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