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기탐구 - 나를 알아가는 시간

우울할 때 자꾸 폰을 보게 되는 이유 : 폰 중독 – 회피인지 회복인지

변화는 즐겁게 2025. 4. 30. 09:10
반응형

 

 

어느새 폰을 붙잡고 자고 있는 나

잠깐 쉬려는 거였는데, 눈을 뜨면 유튜브 쇼츠를 계속 넘기고 있거나, 웹툰 몇 화를 본 뒤 그대로 잠들어버린 날이 많다. 뭔가 하기 싫고, 기분이 가라앉는 순간마다 자연스럽게 손이 폰으로 향한다. 처음엔 단순한 휴식인 줄 알았지만, 반복되다 보니 이것이 중독처럼 느껴지고, 우울함도 더 깊어지는 듯하다.

 


2. 우울감이 우리를 중독으로 이끄는 이유

  • 감정을 느끼고 싶지 않기 때문: 우울할 때는 내 감정을 직면하는 것이 너무 고통스럽다. 그래서 즉각적으로 ‘느낌을 지워주는 무언가’가 필요하다. 그게 바로 유튜브, 웹툰, 쇼츠 같은 자극적인 콘텐츠다.
  • 도파민의 역할: 이런 콘텐츠는 뇌에 도파민을 빠르게 분비시켜준다. 기분은 일시적으로 좋아지지만, 우울의 본질은 해결되지 않는다.
  • 습관의 강화: 반복할수록 뇌는 ‘불편한 감정이 들면 폰을 켜라’는 회피 습관을 굳혀버린다.

 


3. 이것은 회피일까, 회복일까?

진짜 회복은 감정을 직면하고,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방식을 익히는 것에서 시작된다.

폰을 보는 행동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, 그걸 통제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.

즉, 내가 주도적으로 선택하느냐, 아니면 자동 반응이냐의 차이.

 

 


4. 회피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작은 실천

감정을 피하지 않고 마주할 수 있도록 돕는 일상 속 루틴들

  • 기분이 가라앉을 때 일단 5분 멈춤 → “지금 내가 느끼는 건 무엇이지?” 질문해보기
  • 감정 일기 쓰기 → 감정 이름 + 언제 +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간단히 기록
  • ‘회복 루틴’ 만들어두기 → 산책, 햇빛 쬐기, 스트레칭, 좋아하는 차 마시기, 간단한 손 운동
  • 스크린 타임 줄이기 앱 사용 → 특정 시간에 유튜브, 쇼츠 차단
  • 폰 대신 손으로 하는 일 해보기 → 퍼즐 맞추기, 종이접기, 색칠하기, 글씨 쓰기
  • 타이머 활용해서 집중-휴식 구분하기 → 25분 집중 후 5분 휴식, 그때 ‘의식적인 폰 사용’ 연습
  • 감정 넘버링 하기 → “지금 내 감정은 몇 점짜리일까?” 1~10점으로 숫자로 표현해보기
  • 가볍게 몸을 움직이기 → 손목 돌리기, 어깨 펴기, 의자에 앉은 채 스트레칭
  • 나에게 말 걸기 → “지금 정말 필요한 게 뭐야?” “이 기분을 폰 말고 어떻게 달래볼 수 있을까?”

 


5. 나에게 친절한 시선 갖기

우울하다고 해서 회피하는 내가 나쁜 건 아니다. 그것도 나를 지키기 위한 방식이었다. 하지만 이젠 좀 더 나를 아끼는 방식으로 감정을 다룰 수 있었으면 한다.

중독보다 회복을 선택하는 내가 되고 싶다. 그게 느리더라도 괜찮다.

나를 바꾸는 건 오늘의 작은 선택 하나에서 시작될 수 있다.

 

 

무기력 극복하기 - 관련 글 모음

 

 

무기력할 때 아무것도 하기 싫다면? - 감정도 뇌가 기억하는 습관이다

살면서 ‘다 놓고 싶다’는 생각을 여러 번 했다.힘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고, 무엇보다 부모님의 가스라이팅이 내 내면을 파괴했다.그 감정은 그냥 ‘우울하다’는 말로는 설명이 안 되는,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스트레스를 먹는 걸로 푸는 이유 - 과식, 폭식, 음식 중독 심리 분석과 해결법

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상하게 배가 고프지 않아도 뭔가를 찾게 된다.과자가 됐든, 배달 음식이 됐든, “조금만 먹자” 하면서 시작하지만 결국 배가 터질 때까지 멈추지 못한다.매운 걸 먹어 땀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나는 왜 자꾸 해야 할 일을 미룰까? - 미루는 습관의 심리적 원인

해야 할 일이 생기면 이런 패턴을 반복하는 사람이 있다.바로 나 같은 사람.해야 할 일 있음 → 하기 싫음 → 스트레스 받음 → 딴짓 시작 (유튜브, 쇼츠, 넷플릭스) → 시간 순삭 → 결국 급하게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계산적인 성격이 실행력을 가로막다 - 왜 나는 시작도 전에 지쳐버릴까

시작도 전에 지쳐버리는 나 나는 실수나 손해보는 걸 싫어하는 사람이다.계산적이고 계획적인 걸 좋아하고, 결과를 예측하려는 경향이 있다.그런데 이게 때로는 나의 실행력을 무너뜨리는 주범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왜 나는 좋은 습관을 꾸준히 하지 못할까? - 습관 형성을 가로막는 심리

살면서 종종 이런 생각이 든다.왜 좋은 줄 알면서도 꾸준히 하지 못하는 걸까?예를 들어 영어공부, 명상, 운동 같은 것들.삶에 분명히 도움이 될 거라는 건 알지만, 몇 번 하다 보면 흐지부지된다

orangetree8.tistory.com

 

 

※ 본 글은 작성자의 창작물이며, 무단 복제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.

반응형